임용고시 벼락치기 일지 (D-72, 71)
내가 진행하고 있는 공부법은 케이스 스터디.
고등학교때 개념서와 인강이 공부의 전부라 생각했던 나는 수능에서 만족하지 못했다.
대학교때는 회독과 구조화를 통한 공부를 적용해서 재미를 봤던 기억들이 있다.
임용시험도 결국 똑같다고 생각한다.
하나 다른건 범위를 획정하는 일.
일단 범위가 넓다.
교육부에서 알려주는 범위는 너무 크게 크게 줘서 넓고
학원강사들이 알려주는 범위는 너무 완벽하게 준비하려 해서 넓다.
무슨 말이냐 하면 결국 다 공부하진 못한다는 것이다.
전략적으로 접근해보자.
최종 목표는 합격인데 세부 목표를 세워보자면..
교육학 기출에 나온 개념 공부 + 모의고사에 나온 개념 공부
전공 기출에 나온 개념 공부 + 모의고사에 나온 개념 공부
각 과목마다 최소 30개 최대 50개의 개념으로 획정하고 나머진 보지 않는다
기출은 최소 3개년 최대 5개년으로 잡는다.
모의고사는 최대한 따라가려고 해본다.
내 예상으로는 기출에서 뽑은 개념들에 해당하는 모의고사가 나온다면 굉장히 중요한 포인트가 되지 않을까 싶다.
결국 달달 외우는 싸움이고 완벽하게 외우는게 중요하지, 모든 범위를 적당히만 외우면 점수 안 준다.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극에 약한 mbti I가 공부하는 방법 (0) | 2024.09.17 |
---|---|
모의고사 강의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 (5) | 2024.09.16 |
수험은 실무를 위한 과정 (2) | 2024.09.11 |
예민, 불안, 걱정, 고민에 취약한 수험생 (3) | 2024.09.11 |
교육학 모의고사 공부법에 대해서 (0) | 2024.09.10 |